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, 정치부 김민지 기자와 함께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시죠. 무덤가에 보름달이 떴네요. 누가 독해졌습니까. <br><br>이재명 후보인데요. <br> <br>발언 수위가 점점 세지고 있습니다.<br> <br>오늘 나온 독한 발언부터 보시죠. <br> 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(오늘)]<br>"(윤석열은) 주어진 권한을 자기 가족, 측근들 돈벌이하고 부정부패 하는데 쓰는 그런 사람…." <br> 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(오늘)]<br>"(대장동) 관련자들이 우리 윤 후보님 아버지 집을 사줬다면서요?" <br>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(오늘)]<br>"우리 국민의힘 여러분. 이게 빈대도 낯짝이 있다. 이 부정한 개발이익 나눠 먹은 게 누구입니까?" <br><br>최근 이 후보는 윤 후보를 향해 "복수하고 누군가 뒤나 캐고, 점쟁이한테 점이나 본다"며 공격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Q. 이달 초까지만 해도 "분노의 언어 대신 희망의 언어를 써 달라"고 말했잖아요. 왜 바뀐 걸까요. <br><br>발언 수위가 높아진 이유, 이 후보의 이 말 안에 답이 있지 않을까 싶은데요. <br> 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(오늘)]<br>"정치인들이 뭐 별거입니까? 안 찍어주면 떨어지는 거잖아요. 정말 2표 차이로 떨어질지도 모릅니다. 하루에 한 명에게라도 말해주세요." <br><br>대선이 40여일 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초박빙의 승부가 계속되자 조금 급해진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옵니다. <br><br>Q. 그제인가요, "대선에 지면 감옥에 갈 것 같다"는 발언도 논란이잖아요. <br><br>네. 본인이 질 경우 "검찰이 없는 죄를 만들어 감옥 갈 것 같다"는 말이었죠. <br><br>야권에선 이렇게 분석했습니다. <br> <br>[김근식 / 국민의힘 전 비전전략실장(오늘, CBS '김현정의 뉴스쇼')]<br>"'도둑이 제 발 저린다' 스스로가 죄를 지었고 범죄 사실이 연루돼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패배 의식이 좀 많이 깔려 있는 게 아닌가." <br><br>지지층 결집을 노리려는 시도지만 민주당 일각에서는 대장동 의혹을 오히려 부각한 자충수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한 민주당 선대위 관계자는 "이 후보가 지지를 호소하다가 실수했다"고 평가했습니다. <br><br>Q. 다음 주제 보시죠. 이재명 후보와 원희룡 국민의힘 정책본부장, 누가 시간여행자인가요? <br><br>민주당이 연일 무속 프레임으로 윤석열 후보를 공격하자 국민의힘이 '거짓말' 프레임으로 이재명 후보를 공격하는 건데요. <br> <br>어제 원 본부장은 "이 후보는 시간 여행자인가, 입만 열면 거짓말"이라고 따졌습니다. <br> <br>Q. 왜 시간 여행자일까요. <br><br>몇 가지 살펴보면요. <br> <br>이재명 후보는 1978년경 공장에서 일하던 시절을 떠올리며 당시 "혜은이 씨의 제3한강교가 유행했다"고 한 적이 있는데요. <br> <br>이 노래는 1979년 1월에 발표됐습니다.<br> <br>Q. 나오지도 않은 노래가 기억난다니 시간여행이라도 한 거냐, 이런 뜻이군요. <br><br>네. 또 이 후보는 영화 1987을 보고 "1989년 내곡동에 있던 안기부에 구속된 친구를 위해 투쟁하다가 독침과 권총으로 위협"받았던 일화를 공개했는데요. <br> <br>당시 안기부는 남산에 있었고 내곡동으로 이전한 건 1995년입니다. <br> <br>'AI 윤석열'도 '시간 여행자' 공격에 가세했는데요. <br> <br>[AI 윤석열]<br>"시간 여행자 이 땡땡 님 2005년 농협 부정 대출 사건 처리하다 음주단속에 적발되셨다는데 전과 증명서 음주 운전 기록은 2004년으로 되어 있습니다. 혹시 제가 모르는 음주 운전이 또 있나요." <br><br>Q. 사소한 실수였는지, 의도가 있는 건지, 토론회 때 공방거리가 되겠군요. 마지막 주제 보시죠. "봄의 난로" 안철수 후보를 빗댄 말인가요? 따뜻해보이네요. <br><br>국민의힘에서 내놓은 비유인데요. <br><br>내용은 그다지 따뜻하진 않습니다. <br> <br>[원희룡 / 국민의힘 선대본부 정책본부장(어제, KBS 일요진단)]<br>"솔직한 속마음이 추울 때는 난로가 필요했는데 지금 봄이 왔잖아요. 과연 이 난로가 이게 필요한 건지." <br><br>Q. 아, 이제는 단일화가 별로 아쉽지 않다, 이런 뜻인가보죠. <br><br>윤 후보와 안 후보 지지율 추이에 변화가 생기면서 국민의힘 내에서 자강론이 힘을 받고 있는데요. <br> <br>안 후보도 아직은 단일화가 필요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[안철수 / 국민의당 대선 후보(어제)]<br>(Q. 국민의힘에서 단일화 제의가 온다면?) "대표가 그리 반대를 하는데 그럴 일이 있겠습니까?" <br> <br>Q. 아까 이 대표와도 이야기했지만, 단일화가 바로 논의될 것 같진 않아요. <br><br>대선후보 단일화는 정말 어렵고 지난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요. <br> <br>어찌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'힘겨루기'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> <br>Q. 안철수 후보가 설 연휴 끝날 때까지 지지율을 어디까지 올리느냐가 관건이 될 것 같습니다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구성: 김민지 기자·김지숙 작가 <br>연출·편집: 정새나PD·배영진PD <br>그래픽: 임 솔 디자이너 <br><br><br />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j@donga.com